SH공사 퇴직인사
1975년 9월에 공무원생활을 시작하고 세월 흘러 어느덧 35년.
공교롭게도 올해 같은 9월에 공직자의 자리에서 물러나게 되었습니다.
서울시에서 14년, 그리고 SH공사에서 21년.기쁘고 슬프고 즐거웠고 아파했고
그리고 가끔씩 찾아왔던 가슴 벅찬 성취감 !
24세부터 58세 까지의 인생의 격동기에서 愛憎, 喜悅 그리고 悔恨을 느끼며 세월은 참으로 빠르게 흘러가 버렸습니다.
옛날 도연명은 30년간 속세의 생활 마치고 고향으로 돌아가며 “오랫동안 새장에 갇혀 있다가 비로소 自然으로 돌아간다”고 기뻐합니다.
그러나 35년 공직생활을 마친 나에게는 도연명처럼 돌아갈 田園이 없습니다.
그 시절에는 30년 정도 일을 하면 충분히 오래 일을 한 것이고 물러나면 자연과 더불어 살며 고단함을 달래도 누가 뭐라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현대를 살아가는 나는 35년 동안 하루도 쉬지 않고 열심히 일하며 살아왔지만 이제는 감히 물러나서
“밭 갈며 일하고 숲속에서 고단함 달래고 싶은 退耕還林의 꿈”은 한낱 꿈으로 여겨야 하는 현실입니다.
그러나 후회는 없습니다.
도연명의 58세와 지금 나의 58세는 같은 나이라 해도 너무 다르기 때문입니다.
건강하고, 그래서 여전한 노동력을 갖추고 있고 정신력도 살아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지금부터가 시작이기 때문입니다.
“漢文의 生活力”이라는 책속의 내용입니다.
“부처라 할지라도 나이를 먹습니다.
하물며 보통사람은 말할 나위도 없습니다.
어차피 나이를 먹는 것이라면, 쓸데없는 저항은 그만두고 아름답게 늙고 싶습니다.
봄날의 벚꽃도 아름답지만, 가을의 낙엽도 맛이 있습니다.
나이는 먹지만 늙지 않고,
하루하루 앞을 바라보며 살아간다는 것,
그런 삶의 방식을 한문에서는 “炳燭之明(병촉지명)”이라 합니다.
인생의 미묘한 그림자는 아침이나 대낮의 눈부신 빛에서는 보이지 않습니다.
그것은 저녁 무렵 등불로 비추어야 비로소 보입니다.
실제로 인생론에 관한 명저의 대부분은 저자들이 만년에 쓴 것
들 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병촉지명”은 아침 해보다 밝다 할 것입니다.”
우리의 晩年,
서쪽 하늘을 붉게 물들이고 장엄하게 사라져 가는 일몰처럼 우리의 삶도 비로서 지금부터 장엄한 광채를 발할 것입니다.
SH공사 창설 때부터 몸담아 온 지난 21년 참으로 행복하였고 소중한 기억으로 남을 것입니다.
더욱이 개포동 사옥 건립에 참여했던 일과 가든파이브에서의 지난 일들은 뒤돌아보면 나에게 너무나도 큰 보람과 성취감을 안겨 주었습니다.
비록 몸은 SH공사를 떠납니다만 SH공사를 향한 나의 마음은 영원할 것입니다.
SH공사와 함께 했던 지난 세월 참으로 행복했던 나날들 이었습니다.
생각해보면 멋들어지고 대단한 SH공사 !
SH공사와 그 식구들을 사랑합니다.
새로운 일터, 가든파이브를 위하여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자 합니다.
애정 어린 시선으로 지켜봐 주시고 격려해 주시기 바랍니다.
SH공사 임직원 모두에게 감사를 드립니다 !
그동안 고마웠습니다! 안녕히 계십시오 !
2009년 9월 11일
朴 昞 玉 拜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