繪事後素 회사후소
子夏問曰 巧笑倩兮 美目盼兮 素以爲絢兮 何謂也
子曰 繪事後素
曰禮後乎
子曰起予者商也 始可與言詩已矣 (論語 八佾編)
자하문왈 교소천혜 미목반혜 소이위현혜 하위야
자왈 회사후소
왈예후호
자왈기여자상야 시가여언시이의
자하가 시경(衛風의 碩人)의 구절에 대하여 공자에게 질문했습니다.
“‘아리따운 웃음과 예쁜 보조개, 아름다운 눈과 검은 눈동자,
소(素)가 곧 아름다움이로다’ 이것이 무슨 뜻입니까?”
공자가 대답하였습니다. “그림은 소(素)를 한 다음에 그리는 법이지 않은가.”
자하가 말했다.“예를 갖춘 다음입니까?”
공자가 말했다. “네가(商) 나를 깨우치는구나! 더불어 시를 논할 수 있겠구나.”
그림 그리는 일은 흰 바탕이 있은 이후에 한다.
본질이 있은 연후에 꾸밈이 있다는 뜻.
동양화에서 흰 바탕이 없으면 그림을 그리는 일이 불가능한 것과 마찬가지로
소박한 마음의 바탕이 없이 눈과 코와 입의 아름다움만으로는
여인의 아름다움은 표현되지 아니한다는 공자의 말이다.
천년바위에 부처를 조각하는 석공은 바위를 억지로 쪼아 부처를 새기는 것이 아니라
바위 속에 이미 숨어 있는 부처를 드러나게 하는 것이라고 한다
그림을 그리는데 먼저 색색의 물감으로 모든 형체를 구현하고 제일 나중에 흰 물감으로
그 형체를 명료하게 드러내어 광채나게 만드는 최종 텃치를 하는 것과도 같이,
인간의 예라는 것은 온갖 갖가지 삶의 경험이 이루어지고 난 후에
최종적으로 그 인격의 완성을 최종적으로 텃치하는 것과도 같다는 것이다.
마음이 아름답지 못한데 겉으로 아무리 예쁜 표정과 눈웃음을 쳐도
그 아름다움은 잠깐일 뿐, 오래가지 못한다는 것이다.
요즘 외모지상주의가 곳곳에 만연해 있다.
내면의 본질은 바닥을 치고 있는데 겉모습만 화려하게 꾸미는 것이
일상이 되어버린 시대가 되었다.
논어(論語)에 ‘巧言令色 鮮矣仁(교언영색 선의인)’이라는 말이 있다.
巧言令色(교언영색)이란 즉 발라 맞추는 말과
알랑거리는 태도라는 뜻으로, 남의 환심을 사기 위해 아첨하는
교묘한 말과 보기 좋게 꾸미는 표정을 이르는 말이다.
‘말재주가 교묘하고 표정을 보기 좋게 꾸미는 사람 중에
어진 사람은 거의 없다’는 뜻이다.
요즘 대권을 잡겠다고 정치인들도 너나없이 巧言令色(교언영색) 일색이다.
듣기 좋은 말속에서 어떻게 禮와 無禮, 正義와 不義를 가려낼 수 있을까?
언제부터 인지 몰라도 우리 사회는 진실과 정의를 말하는 사람보다는
교언영색(巧言令色)과 임기응변에 능한 사람들이 더 많이 숨 쉬는 공간으로 변했다.
繪事後素 회사후소
그동안 잊고 살았던 내면의 아름다움이 더욱 절실해지는 때이다.
'漢詩 ·風水등 > 漢詩·漢文' 카테고리의 다른 글
• 君子不器에 대한 동서양 해석 (0) | 2012.10.12 |
---|---|
독서 (0) | 2012.09.10 |
知魚之樂 물고기의 즐거움을 안다 (0) | 2012.07.20 |
백운거사 李奎報와 국선생 (0) | 2012.07.07 |
蘇東坡의 赤壁賦 (0) | 2012.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