漢詩 ·風水등/서예 8

[스크랩] 서예와 인격수양

書藝와 人格修養 中齋 申允九 목차 Ⅰ序論 Ⅱ書藝의 修養的 特性 1. 書與其人 2. 心正則筆正 3. 技藝와 修養 Ⅲ 結論 Ⅰ. 緖 論 서예는 유구한 역사를 가진 동양 특유의 전통예술로 작가의 사상과 감정을 모필을 사용하여 표현하는 예술이다. 또한 문자의 조형적인 특징에 의거하여 다양한 기법을 동원한 예술적인 구상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다. 중국 문자는 물체나 대상을 형상화한 그림으로부터 출발하였다. 그 원시적인 그림문자가 점차 실용화와 장식화 등 변화를 거듭하며 예술화되었고, 그 과정에서 서예는 文字를 아름답게 표현한 예술로 인식되면서 끊임없이 발전해 왔다. 한자는 표의문자이기 때문에 글자마다 의상(意象)이나 미적인 요소를 생성할 때부터 함축하고 있었다. 서예는 중국에서는 서법(書法)이라 하며, 일본에서는 ..

[스크랩] 가훈에 참고 될 글귀

博愛 박애 널리 사랑하라 中庸 중용 치우치지 않도록 明德 명덕 덕을 밝힘 日新 일신 날로 새롭게 樂則安 락즉안 즐거우면 편안할 수 있다 靜中動 정중동 조용한 가운데의 움직임 信望愛 신망애 믿음.소망.사랑 眞善美 진선미 참되고 착하고 아름답게 知仁勇 지인용 지혜 어짐 용기 誠敬直 성경직 성실하고, 공경하고, 정직하게 磨鐵杵 마철저 끈기있게 노력하면 끝내 이룰 수 있다 思無邪 사무사 생각함에는 사악함이 없어야 한다 染常淨 염상정 더러운 곳에 있더라도 항상 깨끗하라 樂善不倦 락선불권 선을 즐기는 사람은 권태로움이 있을 수 없다 自勝子强 자승자강 자신을 이기는 자가 강한 자다 人一己百 인일기백 남이 한 번 할 때, 나는 백 번을 해서라도 따라간다 大道無門 대도무문 큰 도는 이름조차 없는 것이다 無言實踐 무언실천..

[스크랩] 한자의 세체

한자의 여섯가지 글씨체(書體) 0. 육서체(六書體) 이전의 글자 (1) 갑골문자(甲骨文字) 거북의 등 껍질이나 짐승의 뼈에 예리한 칼로 새긴 글자를 말하며 중국 하남성(河南省) 소둔촌(小屯村)의 은허(殷墟)에서 출토된 갑골문자가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은나라 역대 제왕들의 이름과 점괘등이 수록되어 있는데 상형문자의 단계를 넘어 육서(六書)의 원리를 갖추고 있어 한자로서 손색이 없는 단계에 이르고 있다 (2) 금석문(金石文) 주(周거)나라에서 주로 돌이나 비석, 종, 그릇 등에 문자를 새길때 쓰던 글씨체이며, 금문(金文)이라고도 한다 1.대전(大篆) 은(殷)나라의 갑골문이 주(周)나라 때에 이르러 크게 바뀌게 되는데 이를 가리켜 대전이라고 하며, 주나라 선왕(宣王)이 당시 태사(太史)인 사주에게..

[스크랩] 서예의 이해

서예(書藝)의 이해(理解) - 서법예술(書法藝術)이란 무엇인가? 서법(書法)이란 탄력성(彈力性)이 풍부한 독특한 모필(毛筆)로 글씨를 쓰는 방법으로, 한자조형(漢字造形)의 특질(特質)에 의하여 예술적인 구상(構想)과 수법(手法)을 거쳐 만들어진 형태를 말한다. 형식상으로 본다면 서법은 정신(精神)과 풍채(風采)를 중요시하고, 그 다음으로 형태(形態)와 바탕을 친다. 이것은 다시 말하여 지혜(知慧)의 헤아림은 끝없이 넓고, 법(法)이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풍채와 정신을 으뜸으로 보고, 곱고 아름다운 효용성(效用性)을 그 다음으로 본다는 말이다. 그 중의 오묘(奧妙)함에 대하여 옛사람은 "심오(深奧)하고 현묘(玄妙)함은 사물(事物)의 곁에서 나오고 그윽하고 깊은 이치(理致)는 아득한 속에 숨겨져 있다."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