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사년 유월 보름날 同期가 운영하는 농장 찾아가
그 회원들 모두 모여 虛한 몸 補身키로 하였는데
그 중 한분, 행사가 따블되어 부득이 올수 없다 하며
그 사연을 적어 ‘詩 한편’ 보내 왔네
“어느 한 날에
어느 모임의 詩會가 졸졸 냇가에서 열린다 하고,
또 그 날에
또 다른 어느 모임의 회원 경사가 뽕밭에서 있다 하네.
時差는 있으나 dress code가 너무 달라
이리 가알까아˜♬ 저어리 가알까♬ 망설이˜다아가↗˜˜˜♬
後者가 正道 라 생각되어
여러 동지들에게 이해를 구해보네.
부디 맛난 음식 많이 들고
一杯酒 一杯酒 시원하게 들이키면서
즐거운 얘기들 냇물에 많이 많이 풀어 놓으시게나.
追 : 詩會費는 머슴 편에 들려 보내겠네”
‘詩’에는 ‘詩’로 답하는 것이 예의인줄 알아
이태백 ‘詩’를 빌려 이러구러 답하였네!
“一杯一杯復一杯 일배일배부일배
主醉客醉山河醉 주취객취산하취
後日有意抱壺來 후일유의포호래
한잔, 두잔 또 한잔 하다보면,
주인도 취하고 객도 취하고 산과 물도 모두가 취할터이니
나중에 뜻이 동하면 술병차고 오소서“
'虛作談論 > 虛作談論'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녹(祿)은 주되 직(職)은 주지 마라! (0) | 2013.05.14 |
---|---|
• 사나이 붕정만리길 (0) | 2013.04.09 |
• 억지 효행 (0) | 2012.11.05 |
빠져나갈 구멍 (0) | 2012.10.03 |
• 만물공경 (0) | 2012.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