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밀양 박씨(密陽 朴氏) 국당공파(菊塘公派) 65세손
밀양박씨 국당공파의유래
밀양 박씨(密陽 朴氏)에 대(對)하여
1. 시조(始祖) : 박혁거세(朴赫居世)
◎ 유래(由來)
신라(新羅)의 시조(始祖)(재위 BC 57∼AD 4). 고조선(古朝鮮)의 유민이 지금의 경상도(慶尙道) 지방(地方) 산 곡간에 흩어져 살면서 형성(形成)한 여섯 마을의 왕(王)으로 국호(國號)를 서라벌(徐羅伐)이라 했다. 6부를 순행(巡行)하면서 백성(百姓)에게 농잠(農蠶)을 권면(勸勉)했다.
그가 13세(世)가 되었을 때 매우 영특(英特)하여, 여섯 마을의 왕(王)으로 삼고 국호(國號)를 서라벌(徐羅伐)이라 하였고., BC 53년 1월 용(龍)이 알영정(閼英井)에 나타나 계집아이를 낳았는데, 우물 이름을 따라서 알영(閼英)이라 하였다. 알영(閼英)은 자랄수록 덕기(德氣)가 있으므로, 혁거세(赫居世)가 그녀를 비로 맞이하여 알영부인(閼英夫人)이라 하였다. BC 41년 혁거세(赫居世)가 알영부인(閼英夫人)을 동반(同伴), 6부(部)를 순행(巡行)하면서 백성(百姓)에게 농잠(農蠶)을 권면(勸勉)하여 생산(生産)의 증가(增加)에 힘쓰니, 백성(百姓)들이 이들을 이성(二聖)이라 칭송(稱頌)하였다.
2. 중시조(中始祖) : 박언침(朴彦枕)
◎ 유래(由來) :
중시조(中始祖) 박언침(朴彦枕)은 시조(始祖) 왕(王) 박혁거세(朴赫居世)의 30세손(世孫)이요, 신라(新羅) 제54대 경명왕(景明王)의 맏아들로 경명왕(景明王)이 여덟 왕자(王子)를 각기 분봉(分封)할 때 밀성대군(密城大君)에 봉(封)해졌기 때문에 후손(後孫)들이 그를 중시조(中始祖)로 하고 밀성(密城)이 뒤에 밀양(密陽)으로 개칭(改稱)됨에 따라 본관(本貫)을 밀양(密陽)으로 하였는데 옛 지명(地名)을 따라 밀성(密城) 박씨(朴氏)라고도 한다.
밀양박씨(密陽朴氏)의 세계(世系)는 중시조(中始祖) 박언침(朴彦枕)의 8세(世)에서 6파(派)로, 그 아래에서 다시 6파(派)로 나뉘어 크게 12파(派)로 분파(分派)되어 파(派)마다 중조(中祖)를 두고 있으며 이들은 각기(各岐) 또 여러 소파(小派)로 분파(分派)되어 내려오고 있다.
3. 본관(本貫) 연혁(沿革)
본관소재지 : 경상남도(慶尙南道) 밀양(密陽)
밀양(密陽)은 경상남도(慶尙南道) 밀양시(密陽市) 일원에 있던 지명(地名)으로 삼한시대(三韓時代)에 변한(弁韓)의 일부(一部)로 가락국(駕洛國)에 속(屬)했으며 미리미동국(彌離彌東國)이 있었다고 한다. 법흥왕(法興王) 때 신라(新羅)에 병합(倂合)되어 추화군(推火郡, 밀벌 또는 미리벌)이 설치(設置)되었다가, 757년(경덕왕 16)에 밀성군(密城郡)으로 개편(改編)하였다. 995년(고려(高麗) 성종(成宗) 16)에는 밀주(密州)로 개칭(改稱)하였고, 1018년(현종 9)에 밀성군(密城郡)으로 개편(改編)되었다. 1275년(충렬왕 1)에는 군민(郡民)의 모반(謀叛) 사건(事件)으로 귀화부곡(歸化部曲)으로 강등(降等)되어 계림부(鷄林府:慶州)에 편입(編入)되었다가 후(後)에 현(縣)으로 승격(昇格)하였다. 1285년에는 군(郡)으로 승격(昇格)되었으나 다시 현(縣)으로 강등(降等)되었다가 1390년(공양왕 2)에 밀양부(密陽府)로 승격(昇格)하였다. 조선(朝鮮) 1415년(태종 15)에 밀양(密陽)도호부가 되었다가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地方制度) 개정(改定)으로 경상남도(慶尙南道) 밀양군(密陽郡)이 되었다. 1918년에는 부내면이 밀양면(密陽面)으로 개칭(改稱)되고 1931년에 밀양읍(密陽邑)으로, 1989년 시(市)로 승격(昇格)하여 독립(獨立)하였다. 1995년 밀양군(密陽郡)이 밀양시(密陽市)에 통합(統合)되었다.
4. 시조에서 파조의 유래
1세 : 시조. 박혁거세(朴赫居世)
2세 : 남해왕(南解王)
3세 : 유리왕(儒理王)
4세 : 일성왕(逸聖王)
5세 : 아달라왕(阿達羅王)
6세 : 벽방(碧芳)
7세 : 무영(武英)
8세 : 판득(判得)
9세 : 광흠(光欽)
10세 : 미일(美一)
11세 : 내물(乃物)
12세 : 상건(相建)
13세 : 인엽(仁燁)
14세 : 계보(啓輔)
15세 : 명신(明信)
16세 : 정환(貞環)
17세 : 로겸(露兼)
18세 : 남선(楠善)
19세 : 금산(金山)
20세 : 응찬(應燦)
21세 : 덕흥(德興)
22세 : 대녕(大寧)
23세 : 이순( 淳)
24세 : 융겸(隆劒)
25세 : 지곤(之坤)
26세 : 성순(成順)
27세 : 추신(秋信)
28세 : 희복(僖福)
29세 : 경명왕(景明王)
30세 : 박언침(朴彦沈) 밀성대군(密城大郡)(밀양) : 밀양. 진원. 선산. 문의. 여주. 반남. 태인. 봉산. 영암. 창원. 구산. 태안. 운봉. 진주. 나주. 의흥. 강진. 문주. 인제. 고성. 언양. 은풍. 광주.
고양대군(고령) : 고령박씨
속함대군(함양) : 함양. 군위. 삼척. 보성
죽성대군(죽산) : 죽산. 음성. 고성. 평산
사벌대군(상주) : 상산. 상주. 충주. 남원. 평택
완산대군(전주) : 전주. 무안. 순창
강남대군(순천) : 순천. 춘천. 여수
월성대군(경주) : 월성 국상공(월성) : 울산 등등으로 분류됨 파사왕계 : 영해. 강릉. 해주. 비안. 이산. 구진. 계림. 노성. 면천
5. 밀성박씨(密城朴氏)의 본관(本貫) 사용(使用) 유래(由來)
서기757년 신라35대(742-765) 경덕왕 16년에 전국을 9주로 나누고 군현(郡縣)의 명칭(名稱)을 고칠 때에 추화군(推火郡/밀성재의 東齋가 추화재임)을 밀성군(密城郡)이라 하여 우리의 본관(本貫)조 밀성대군(密城大君)께서 본관(本貫)을 정(定)할 그 당시(當時)에 지명(地名)이 밀성인(密城人) 고로 밀성대군(密城大君) 후손(後孫)은 본(本)을 밀성박씨(密城朴氏)로 정(定)하였다. 고려(高麗) 공민왕(恭愍王) 시대(時代)에 지금으로부터 약6백 여년(餘年) 전(前)에 지명(地名)이 밀성(密城)에서 밀양(密陽)으로 변경(變更)되었으므로 신지명(新地名)인 밀양(密陽)으로 쓰고 있다. 현재(現在) 전국적(全國的)으로 밀성박씨(密城朴氏)로 쓰는 종파(宗派)도 있고 밀양박씨(密陽朴氏)로 쓰는 종파(宗派)도 있는데 밀성(密城)으로 하든 밀양(密陽)으로 하든 똑같은 본관(本貫)이다. 특(特)히 밀성대군파(密城大君派)의 밀양박씨(密陽朴氏)가 주류(主流)를 이루어 박씨(朴氏) 인구(人口)의 70∼80%를 차지하고 있는데, 밀양(密陽), 반남, 고령, 함양, 죽산, 순천, 무안, 충주박씨를‘8박’이라고 부른다.
6. 밀양박씨(密陽朴氏) 12계파(系派)
- 문하시중공파(門下侍中公派) : 파조 박언부(朴彦孚).
- 도평의사공파(都評議事公派) : 파조 박언상(朴彦祥).
- 좌복야공파(左僕射公派) : 파조 박언인(朴彦仁).
- 밀직부사공파(密直副使公派) : 파조 박양언(朴良彦).
- 판도판각공파(版圖判閣公派) : 파조 박천익(朴天翊).
- 삼사좌윤공파(三司左尹公派) : 파조 박을재(朴乙材).
- 규정공파(糾正公派) : 파조 박 현(朴 鉉).
-사문진사공파(四門進士公派) : 파조 박 원(朴 元).
- 밀성군파(密城君派) : 파조 박 척(朴 陟).
- 밀직부원군파(密直府院君派) : 파조 박중미(朴中美).
- 영동정공파(令同正公派) : 파조 박원광(朴元光).
- 정국공파(靖國公派) : 파조 박 위(朴 蔿).
이 중 규정공파가 가장 번성하여 전체 밀양박씨의 60% 를 차지하고 있으며 인물 또한 규정공파, 밀성군파, 좌복야공파, 사문진사공파 등에서 많이 배출했다.
밀양 박씨는 조선조(朝鮮朝)에서 문과 급제자 261명, 상신 1명, 문형 1명, 청백리 2명, 공신 6명, 장신 1명을 배출했다.
7. 분파(分派)한 밀성군파(密城大君)의 유래(由來)
밀성대군(密城大君)의 7대손(代孫)인 언부(彦孚 :고려 문종(文宗) 때 문하시중(門下侍中))를 중시조(中始祖)로 하는 문하시중공파(門下侍中公派)를 비롯하여 도평의사사사공파(都評議使司使公派)·좌복야공파(左僕射公派)·밀직부사공파(密直副使公派)·판도공파(版圖公派)·좌윤공파(左尹公派) 등(等)으로 대별(大別)되고, 각(各) 파(派)는 아랫대로 내려오면서 또 여러 파(派)로 분파(分派)된다.
가장 규모(規模)가 큰 문하시중공파(門下侍中公派)는 종파(宗派)인 은산공파(銀山公派 : 永均)·행산군파(杏山君派 : 世均)를 비롯하여 좌상공파(左相公派 : 尙禮)·규정공파(糾正公派 : 鉉)·사문진사공파(四門進士公派:元)·밀성군파(密城君派 : 척(陟)) 등(等)으로 갈라지고, 이들은 또 여러 파(派)로 나누어진다. 이 중(中)에서 규정공파(糾正公派)가 밀양박씨(密陽 朴氏)의 분파(分派) 중(中)에 가장 많은 후손(後孫)이 번창(繁昌)하다. 또 규정공파(糾正公派)에서 나누어진 파(派) 중(中)에서 특(特)히 낙촌공파(駱村公派:忠元)·강수문도공파(江叟文度公派:薰)가 주류(主流)를 이루고 있다.
10세손(世孫) 박환(朴桓)을 시조(始祖)로 영암박씨(靈巖朴氏), 12세손(世孫) 박원의(朴元義)를 시조(始祖)로 하여 태안박씨(泰安朴氏)로 분적(分籍)되었고, 이 외(外)에도 진원박씨(珍原朴氏), 운성박씨(雲城朴氏), 구산박씨(龜山朴氏), 나주박씨(羅州朴氏), 창원박씨(昌原朴氏), 문의박씨(文義朴氏), 여주박씨(驪州朴氏) 등(等)이 분적(分籍)되었다.
문하시중공파(門下侍中公派), 도평의사공파(都評議事公派), 좌복야공파(左僕射公派), 밀직부사공파(密直副使公派), 판도공파(版圖公派), 좌윤공파(左尹公派), 진사공파(進士公派), 밀성군파(密城郡派), 동정공파(同正公派), 밀직부원군파(密直府院君派), 정국공파(靖國公派), 규정공파(糾正公派) 등(等)이다.
8. 조선조(朝鮮朝) 밀성대군파(密城大君派) 명현
우당공 휘 融.인당공 휘 昭.아당공 휘 調.졸당공 휘 聰.판서공 휘 臣敬.참의공 휘 臣寵.문헌공 휘 堧.국당공 휘 興生.이요당공 휘 興居.성열공 휘 從愚.돈제공 휘 衍生.오졸재공 휘 漢柱.화은공 휘 繼息.통찬공 휘 文孫.진사공 휘 承孫.소요당공 휘 河淡.나산경수공 휘 剛生.청풍당공 휘 英孫.파청원공 휘 嗣宗.충정공 휘 審問.삼우정공 휘 慶新.제우당공 휘 慶傳.국헌공 휘 慶胤.용연공 휘 慶因.묵재공 휘 宗元.관찰사공 휘 徐昌.용암공 휘 驚.설봉공 휘 燦.우졸재공 휘 乾甲.지족당공 휘 明傅.정무공 휘 好問.삼암공 휘 以謙.비암공 휘 以恒.공효공 휘 仲孫.송강공 휘 恩訥.존성재공 휘 楣.공간공 휘 楗.항재공 휘 0.태암공 휘 惺.국담공 壽春.대사헌공 義榮.밀성군 휘 光榮.눌재공 휘 增榮.우곡공 휘 身潤.문목공 휘 英.돈계공 휘 栗.문도공 휘 薰.문경공 忠元.충정공 휘 崇元.문장공 휘 啓賢.화공 휘 好賢.의곡공 휘 鼎賢.장주공 휘 震元.숙민공 휘 承宗.판서공 휘 仁立.취석당공 휘 榥.초당공 휘 守玄.충장공 휘 榮臣.청절당공 휘 承禧.습천공 휘 光佐.신재공 휘 承俊.용암공 휘 台考.송호공 휘 昌懲.나산공 휘 春英.나곡공 휘 春茂.상옹공 휘 愚.薪촌공 휘 廷英.무숙공 휘 震英.관일당공 휘 文楗.필천공 휘 0敍.
31세 : 욱 (郁)
32세 : 란(瀾)
33세 : 영정(永禎)
34세 : 기세(基世)
35세 : 시주(施做)
36세 : 찬행(讚行)
37세 : 언부(彦孚)
38세 : 효신(孝臣)
39세 : 공필(公弼)
40세 : 육경(育慶),육화(育和)
41세 : 윤공(允恭)
42세 : 광례(光禮) 영동정공파(令同正公派) : 원광(元光
43세 : 유효(惟孝)
44세 : 흥 (興) 밀직군파(密直君派) : 중미(中美)정국공파(靖國君派) : 15세손 위
45세 : 박현 (鉉) (중시조1세:규정공파) : 규정공(糾正公)
9. 밀양박씨(密陽朴氏)에는 크게 12중 종파가 있습니다. 12개파는
1, 규정공파(박현).
2, 도평의사공파(박언상).
3, 복야공파(박언인).
4, 사문진사공파(박 원).
5, 충헌공파(박 척).
6, 태사공파(박언부).
7, 밀직부원군파(박중미)
8, 밀직부사공파(박양언).
9, 영동정공파(박원광).
10, 판도판각공파(박천익).
11, 삼사좌윤공파(박을재).
12, 정국군파(박 위). 등이 있고 다시 그 밑에 수 많은 지파가 있습니다.
10. 박흥생(朴興生) 국당공파(菊塘公派)에 대(對)하여
국당공파(菊塘公派) 파조공(派祖公)은 박흥생(朴興生)입니다.
1374년(공민왕 23)∼1446년(세종 28). 고려(高麗)말 조선(朝鮮)초의 문신(文臣). 본관(本貫)은 밀양(密陽), 자(字)는 경부(敬夫), 호(號)는 국당(菊塘) 박천귀(朴天貴)의 아드님이시지요.일찍이 문명(文明)을 떨쳐서 1386년 진사(進士)시에 합격(合格)하고, 1390년 생원시(生員試)에 합격(合格)하여 누차에 걸쳐 문과(文科)에 응시(應試)하였으나 실패(失敗)하였습니다.그리하여 김훈(金訓), 서호(徐皞), 사촌(四寸)동생 박연(朴堧) 등(等)과 상촌(桑村) 김자수(金子粹)의 문하(門下)에서 학업(學業)에 전념하셨습니다. 이를 지켜본 이색(李穡)이 그의 재주를 칭찬, 추천하여 여흥부(驪興府)‧춘천부(春川府)의 교수(敎授)를 역임(歷任)하였습니다. 그의 강의(講義)는 치밀(緻密)하고 상세(詳細)하여 원근(遠近)에 소문이 자자하였습니다.1423년(세종 5) 창평현령에 제수되어 기강(紀綱)을 엄히 하고 소송을 분명히 하여 칭송이 컸으나, 친상을 당하여 사임하고 고향(故鄕)에 돌아가 만년(萬年)을 자연(自然)과 더불어 보냈습니다. 고향(故鄕)에 정자를 세워 이락정(二樂亭)이라 하였습니다.1427년(세종 9) 동생 박흥거(朴興居)와 전답(田畓)을 가지고 분쟁(分爭)하다가 사헌부(司憲府)에 의해 탄핵(彈劾), 파직되었다가 1455년 세조(世祖)가 즉위(卽位)하면서 고신(告身)이 환급되었습니다.저술(著述)로는 《촬요신서(撮要新書)》가 있습니다.
국당공파(菊塘公派)는 밀양박씨 12중시조 중 복야공파 → 보승랑장공파 → 대제학공파의 3소파에서 분파된 소파이며, 3 소파에는 난계공파, 국당공파(菊塘公派)와 이요당파가 있습니다.
참고로 복야공파는 크게 문림랑공파와 보승랑장공파 나누어지며, 보승랑장공파는 또 다시 난계공파, 국당공파(菊塘公派), 이요당파로 나누어집니다.
저가 알기로 국당공파(菊塘公派)는 현재 20세손 전후(前後)이며, 국당공파(菊塘公派)는 국당공(菊塘公) 조부(祖父)를 1세로 하고 있습니다. 원래 다른 많은 파에서는 파조(派祖)를 1세로 하지 않고 중조를 1세로 세지만, 복야공계열에서만 파조를 1세로 합니다.
국당공파(菊塘公派)에 대(對)한 설명(說明)을 간단히 하자면, 국당공(菊塘公) 조부(祖父)의 이름은 흥(興)자 생(生)자 를 쓰셨으며, 호(號)가 국당(菊塘)이십니다.
13세 진사시 17세 생원시 장원급제를 하셨고 한때는 창평현령을 제수 받았으나 2년만에 사직, 이요당공과 같이 학문에만 증진하시다 돌아가신 후에 자헌대부 이조판서(吏曹判書)로 추서되셨습니다.
이요당파의 이요당 할아버지와는 형제간(兄弟間)이시며, 난계공파의 박연 할아버지와는 사촌간(四寸間)이십니다. 현재(現在) 국당공파(菊塘公派)의 후손(後孫) 중(中) 가장 이름 있는 분은 국당공파(菊塘公派) 19세손 16대 국회의장(國會議長) 박관용씨도 있습니다.
참고 : 국당공파의 항렬표
국당공파(菊塘公派)는 복야공(언인)파에서 분파한 파이며,
저가 알고 있기로 국당공파(菊塘公派), 이요당파, 난계공파는 같은 항렬을 쓰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같은 세대에 항렬을 두개 혹은 세개를 쓰기도 하는데 천간법(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과 오행(금목수화토)을 같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시조왕(始祖王) 박혁거세(朴赫居世)를 1세로 한 항렬(行列)은 다음과 같습니다.
↓
59세 - ○호(浩)
60세 - 내(來)○
61세 - ○하(夏)
62세 - 희(喜)○
63세 - ○용(用), ○진(鎭), ○현(鉉)
64세 - ○범(範), ○수(洙), ○세(世)
65세 - 병(昞)○, 상(相)○, 회(會)○
66세 - ○정(正), ○연(然), ○녕(寧)
67세 - 의(義)○, 기(基)○, 재(載)○
68세 - ○기(紀), ○호(鎬)
69세 - ○용(鏞), ○순(淳)
70세 - ○재(宰), ○영(榮)
71세 - 종(種)○, 노(魯)○
72세 - ○계(계), ○규(圭)
73세 - 중(重)○, 석(錫)○
74세 - ○희(熙), ○원(源)
75세 - 병(炳)○, 동(東)○
76세 - ○연(衍), ○열(烈)
77세 - 성(成)○, 기(基)○
다음은 복야공파의 집성촌입니다.
- 경기도 파주군 탄현면 오금리
- 경북 군위군 우보면 모산동
- 경기도 개풍군 상도면 상도리
- 경북 청도군 금천면 신지동, 이서면 일원
- 경기도 옹진군 용연면 오산리
- 경북 문경군 가은읍 수예리
[출처] 밀양박씨 국당공파의유래|작성자 푸른언덕
'虛作談論 > 하루 또하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견지망월(見指忘月) (0) | 2017.01.02 |
---|---|
송년회 노래준비 (0) | 2016.11.16 |
서산갯마을 (0) | 2016.10.03 |
맹사성과 흑기총(黑麒塚) (0) | 2016.09.11 |
추석이 다가온다. (0) | 2016.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