創造的 所信
世上은 所信을 가진 ‘創造的 少數’에 의해 움직인다.
남의 장단에 박자나 맞추는 人生에게 아무도 박수를 보내지 않는다.
아인슈타인은 그의 祖國 이스라엘로부터 大統領職을 提議 받았다.
“國會는 滿場一致로 당신을 初代 이스라엘 大統領으로 推戴했습니다.
祖國을 위해 奉仕해 주십시오”
아인슈타인은 이 提案을 정중하게 거절했다.
“大統領을 하겠다는 사람은 많습니다,
그러나 物理學을 가르칠 사람은 그리 많지 않아요.”
이스라엘의 벤구리온이 어느 날 갑자기 首相職을 辭任헸을 때
記者들이 理由를 물었다. 그때 그의 對答은 간단했다.
“이제 나는 키부츠 땅콩 밭으로 갑니다.
首相은 누구나 할 수 있어요.
그러나 땅콩농사는 아무나 지을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미국의 지미카텨도 大統領職에서 물러난 후
敎會學校 敎師로 奉仕하며 말했다.
“내가 大統領이 된 것은
하나님의 일을 더 잘하기 위함이었습니다.
大統領은 臨時職이지만 敎師職은 平生職입니다.”
'虛作談論 > 하루 또하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통은 정신의 양식 (0) | 2011.06.03 |
---|---|
친구들과 주록리 행우동산을 다녀와서 (0) | 2011.05.23 |
땀과 努力 (0) | 2011.05.13 |
일본인의 정신력 (0) | 2011.03.15 |
공정한 경쟁 (0) | 2011.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