漢詩 ·風水등 93

도연명의 四時, 歸去來辭

"怡亭" 선생님께서 직접 만들어 내게 주셨던 "도연명"의 "四時"가 적힌 부채 四時 도연명 (陶淵明) 春水滿四澤 夏雲多奇峰 秋月揚明輝 冬嶺秀孤松 봄철의 물은 연못마다 가득 차 있고 여름철 구름은 산봉우리처럼 기이한 모습 가을철 밝은 달은 찬란하게 비추고 겨울 산마루엔 빼어난 소나무 외롭게 서 있네 陶淵明(365~427)은 자는 연명, 또는 원량(元亮). 이름은 잠(潛) 이다. 집 앞에 버드나무 다섯 그루 심어두고 스스로 오류선생(五柳先生)이라 칭하기도 했다. 동진(東晉) 말기부터 남조(南朝)의 송(宋:劉宋이라고도함) 초기에 걸쳐 생존했으며, 중국 강서성(江西省) 구강현(九江縣) 시상(柴桑)출생이고, 증조부가 서진(西晉)의 명장 도간(陶侃)이며, 외조부가 당시 동진(東晋)의 명사 맹가(孟嘉)였다고 하는데,..

莊子에 대하여

莊子에 대하여 본명은 장주(莊周). 그가 쓴 〈장자〉는 도가의 시조인 노자가 쓴 것으로 알려진 〈도덕경 道德經〉보다 더 분명하며 이해하기 쉽다. 장자의 사상은 중국불교의 발전에도 영향을 주었으며, 중국의 산수화와 시가(詩歌)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한대(漢代)의 위대한 역사가 사마천(司馬遷)〈사기〉 열전(列傳)에 의하면 장자는 전국시대 송(宋)나라의 몽(蒙 : 지금의 허난 성[河南省] 상추 현[商邱縣])에서 태어났고, 이름은 주(周)이며, 고향에서 칠원(漆園)의 하급 관리를 지냈다. 그는 초(楚)나라 위왕(威王 : ?~BC 327) 시대에 활동했으므로, 공자에 버금가는 성인으로 존경받는 유교사상가인 맹자와 같은 시대 사람이다. 열전에 의하면 장자의 가르침은 주로 노자의 말을 인용한 것이지만 장자가 다룬..

莊子 外篇 <山木>中 虛舟

莊子 外篇 中 虛舟 方舟而濟於河 有虛船 來觸舟 雖有偏心之人不怒 有一人在其上 則呼張歙之 一呼而不聞 再呼而不聞 於是三呼邪 則必以惡聲隨之 向也不怒而今也怒 向也虛而今也實 人能虛己以遊世 其孰能害之 (장자 외편 산목 중 허주) 방주이제어하 유허선 래촉주 수유편심지인불노 유일인재기상 즉호장흡지 일호이불문 재호이불문 어시삼호사 즉필이악성수지 향야불노이금야노 향야허이금야실 인능허기이유세 기숙능해지 배로 강을 건널 때 빈 배가 떠내려 와서 자기 배에 부딪치면 비록 성급한 사람이라 하더라도 화를 내지 않는다. 그러나 그 배에 사람이 타고 있었다면 비키라고 소리친다. 한 번 소리쳐 듣지 못하면 두 번 소리치고 두 번 소리쳐서 듣지 못하면 세 번 소리친다. 세 번째는 욕설이 나오게 마련이다. 아까는 화내지 않고 지금은 화내는 ..

"송인" 그리고"송원이사안서"

“送人” 鄭知常 雨 歇 長 堤 草 色 多 送 君 南 浦 動 悲 歌 大 同 江 水 何 時 盡 別 淚 年 年 添 綠 波 우헐장제초색다 송군남포동비가 대동강수하시진 별루년년첨록파 비 개인 긴 언덕에 풀빛이 짙은데 임을 보내는 남포에는 슬픈 노래가 일어난다. 대동강 물은 언제나 다 마를까? 이별의 눈물이 해마다 푸른 물결위에 더하는 것을 【 作者 】鄭知常정지상(?~1135)고려 인종 때 文臣문신이며, 호가 南湖남호이고, 1114년(예종9년)에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고려 12시인의 한사람으로 꼽힌다. 수도를 서경(평양)으로 옮길 것과 금나라를 정벌하고 고려의 왕도 황제로 칭할 것을 주장한 妙淸묘청의 난에가담하여 김부식에게 죽임을 당하였다. 대동강에서 사랑하는 임을 보내며 이 詩는 일명 ‘送人’송인 이라고 하며, ..

[스크랩] 4.가상학~건축물 내부 배치

가상(家相)의 구조(構造) 건물의 외부(外部)가 결정되었으면 내부(內部) 시설이 있어야 한다. 주택의 대문(문, 門), 안방(주, 主), 부엌, 화장실 등을 비롯하여 거실, 우물, 담 등의 내부 구조를 말한다. 사람의 신체 구조에서도 이목구비(耳目口鼻)가 중요하듯 가택에서도 문방조측 4요소가 중요한데 이 중에서도 대문, 안방 부엌을 양택삼요(陽宅三要)라 하여 매우 중요시하였다. 1) 대문(大門)과 현관문(玄關門) 대문은 집안에서 외부와 통하는 첫 관문이므로 외부의 좋은 기는 받아들이고 좋지 않은 기는 차단하기 위해서 집의 규모에 맞게 대문의 크기를 정해야 한다. 대문이 집에 비해 지나치게 작다면 집안에서 필요한 기를 제대로 받아들이지 못해 집안 사람들이 협소하고 빈약해진다. 반대로 지나치게 크다면 실속은..

孔子 三計圖 云

明心寶鑑 立敎編 孔子 三計圖 云 一生之計(일생지계)는 在於幼(재어유)하고 一年之計(일년지계)는 在於春(재어춘)하며 一日之計(일일지계)는 在於寅(재어인)이다 일생의 계획은 어릴 때 있고 일년의 계획은 봄에 있고 하루의 계획은 새벽에 있다 幼而不學(유이불학) 이면 老無所知(노무소지)요 春若不耕(춘약불경) 이면 秋無所望(추무소망)이요 寅若不起(인약불기) 면 日無所辦(일무소판)이니라. 어려서 배우지 않으면 늙어서 아는 게 없고 봄에 밭을 갈지 않으면 가을에 바랄 것이 없으며 새벽에 일어나지 않으면 그날은 할일이 없느니라. 다시 말하면 일년의 계획은 봄에 세워야 하고, 하루의 계획은 아침에 세워야합니다. 봄에 논밭을 갈지 않으면 가을에 거둘 곡식이 없고, 아침에 일찍 일어나서 서두르지 않으면 그날 할일을 못합니다..

나이에 대한 올바른 호칭

나이에 대한 올바른 호칭 1세(生) 농장(弄璋) : 득남(得男), 아들을 낳으면 구슬{璋} 장난감 주는데서 유래. 아들을 낳은 경사 - 농장지경(弄璋之慶) 농와(弄瓦) : 득녀(得女), 딸을 낳으면 실패{瓦} 장난감을 주는데서 유래. 딸을 낳은 경사 - 농와지경(弄瓦之慶) 2세-3세 제해(提孩) : 제(提)는 손으로 안음, 孩(해)는 어린아이, 유아가 처음 웃을 무렵(2-3세). *해아(孩兒)도 같은 의미로 사용. 15세 지학(志學) : 공자(孔子)15세에 학문(學問)에 뜻을 두었다는 데서 유래. 육척(六尺) : 주(周)나라의 척도에 1척(尺)은 두 살반{二歲半} 나이의 아이 키를 의미.- 6척은 15세. * cf)삼척동자(三尺童子) 16세 과년(瓜年) : 과(瓜)자를 파자(破字)하면 '八八'이 되므로 ..

초가을[初秋]

초가을[初秋] 맹호연(孟浩然) 不覺初秋夜漸長 (불각초추야점장) 어느새 초가을 밤은 점점 길어지고 淸風習習重凄凉 (청풍습습중처량) 맑은 바람 솔솔 부니 쓸쓸함이 더해가네. 炎炎暑退茅齋靜 (염염서퇴모재정) 불볕더위 물러가고 초가집에 고요함이 감도는데 階下叢莎有露光 (계하총사유로광) 섬돌아래 잔디밭에 이슬이 맺히네. 습습(習習) : 바람이 살랑살랑 불어오는 상태 염염(炎炎) : 매우 더운 모재(茅齋) : 띠 지붕을 얹은 소박한 집 총사(叢莎) : 촘촘히 자란 잔디 유난히 무더웠던 불볕더위가 어제 같은데 벌써 하늘이 높고 달빛이 고운 초가을이다. 오늘은 계절의 이런 변화를 감각적으로 표현한 맹호연의 칠언절구 를 소개한다. 가을하면 파아란 창공이 시야가득 들어온다. 옥에도 티가 있다는데, 가을 하늘에는 얼 하나 ..

上善若水

上善若水 水善利萬物而不爭 수선이만물이부쟁 처衆人之所惡 처중인지소오 故幾於道 고기어도 居善地 心善淵 거선지 심선연 與善仁 言善信 여선인 언선신 正善治 事善能 정선치 사선능 動善時 동선시 夫唯不爭 부유부쟁 故無尤 고무우 上善若水 (老子8장) 가장 훌륭하게 되는 것은 물처럼 되는 것 물은 온갖 것을 위해 섬길 뿐, 그것들과 겨루는 일이 없고 모두가 싫어하는 “낮은” 곳을 향하여 흐를 뿐입니다. 그러기에 물은 道에 가장 가까운 것입니다. 낮은 곳를 찾아 가는 자세, 마음은 심연처럼 깊고 사람됨을 갖춘 사귐, 믿음직한 말 정의로운 다스림, 힘을 다한 섬김 때를 가린 움직임 겨루는 일이 없으니 나무람 받을 일도 없습니다.